본문 바로가기

플랫폼 컨설팅/Mobile

PDA 시장은 왜 죽었을까?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일단 한 가지 전제사항을 달아보자. 몇몇 특수한 사례들이 있기는 하지만 현재 시장의 나와있는 대부분의 개방형 OS를 사용한 스마트폰은 모두 이미 PDA로 출시된 OS를 사용하고 있다. 팜(Palm)사의 트레오가 그렇고 우리 나라 대부분의 스마트폰이 MS의 Windows Mobile을 사용하고 있다. 물론 소 품종이기는 하지만 임베비드 리눅스도 마찬가지이다. 내장된 소프트웨어 측면에서 PDA와 스마트폰은 최소한 개방형 OS를 사용한다는 측면에서는 별 다른 차이가 없다.

  다시 말해 PDA와 스마트폰은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측면에서 차이는 거의 없다. 그런데 왜 PDA는 점점 시장이 줄어들고 있고 스마트폰은 성장 일로를 걷고 있는 것일까? (참고 : 아래 그림은 같은 회사에서 만든 Palm PDA와 Treo 제품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다른 질문을 던져 보자. Windows CE가 내장된 PMP는 PDA가 아니라고 생각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OS에서 제공하는 PIMS가 없기때문에? 미오에서 판매하는 카네비게이션은 또 어떠한가? 미오의 모든 카네비게이션은 알다시피 모두 WindowsCE를 OS로 사용하고 있다. 그럼 왜 WinCE를 사용하는 미오의 제품들은 PDA가 아닌가?

 우선 우리가 PDA라고 부르는 물건의 특성은 무엇인가를 다시 정의해보자. 즉 우리가 어떤 특징을 갖고 있어야 PDA로 부르냐는 것이다. 이것은 원래 PDA였던 Palm이나 WinCE 기반의 PDA 특성을 생각하면 될 것이다.

  1. LCD 디스플레이가 있는 개인용 정보 단말기이다.
  2. PC랑 연결해서 자료를 옮겨 보관할 수 있다.
  3. 개방형 OS를 사용해서 나중에 S/W나 컨텐츠를 추가할 수 있다.

  원래 PDA는 Personal Digital Assistant의 약자이다. 즉, 개인용 디지탈 비서라고 직역할 수 있을텐데 이게 뭐하는 기계라는 것이다. 이게 좀 어렵다. 내 블로그에 나오는 60 넘으신 우리 아버지에게 PDA를 이해시키려면 뭐라고 얘기해야 하는가? 사실 PDA는 이제 "용도"가 좀 애매해졌다.

  원래 PDA를 만든 사람들은 PDA를 다이어리의 경쟁자로 설계했었다. 즉 메모장, 연락처, 일정관리의 역할을 디지탈 장비로 만들어 놓은 것이 바로 PDA였다. 그래서 PDA의 중요 부품이 바로 "스타일러스(Stylus)"였고 제일 중요한 기능이 바로 "필기체 인식"이였다. (참조 : 위키피디아의 "팜 파일럿")

  왜냐하면 그들이 생각한 PDA는 바로 "입력"이 중요했기 때문이다. 사실 그런 "입력"을 고객들에게 강조했는데, 애플(Apple)은 뉴튼(Newton)으로 PDA를 처음 시장에 발표하고도 정작 그 필기체 인식의 성능때문에 시장에서 성공하지 못했고, 그러한 실패 원인을 알고 Apple에서 나와 만든 제품이 바로 Palm이다. 그리고 그러한 Palm이 성공한 이유 중의 하나가 바로 그나마 Palm은 기존처럼 인식률이 떨어지는 필체 독립적인 필기체 인식을 포기하고 PDA가 인식하기 좋은 그래피티(Graffiti)라는 이상한 국적 불명의 영어글자를 만든 것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물론 이렇게 만든 이상한 글자를 기반으로 PDA는 Palm를 일약 세계적인 스타로 만들어주었다. 하지만 그 인기는 10년을 넘기지 못하고 결국 세계시장은 스마트폰에게 그리고 우리나라에서는 제대로 시장도 커보지 못하고 죽어버렸다.

  그 이유가 무엇일까? 나는 개인적으로 참 많이 고민들을 해 보았다. 왜 PDA는 죽었고 스마트폰은 살았을까? 오히려 같은 OS를 사용하는 카네비게이션은 향후 시장성이 좋다고 얘기하는데 정작 그 제품과 같은 OS를 사용하는 PDA는 죽어가는 걸까?

  첫번째는 PDA의 핵심인 "PIMS"가 Killer App이 아니였기때문이라 생각한다. 결국 전자 PIMS는 나에게 재미를 주는 장비는 아니였다. 그것은 하나의 단순한 "Tool"이었고 "계산기" 이상이 되지 못하는 물건이였다. 물론 PDA도 매니아들에게는 재미를 주었다. 이것 저것 다양한 프로그램을 설치해보고 "야, 이 작은 기계에서 이것도 되네"라고 재미있어 하지만 며칠 못가서 그만이였다. 즉 PDA의 PIMS는 있으면 좀 편하지만 그러한 약간의 편리함에 비해서 내가 희생해야 하는 시간이 많았다.

  즉 PDA는 PC와 Seial Port로 (나중에는 USB였지만) 연결해야 했다. (그래서 초기에는 PDA와 PC를 연결하는 것 자체도 꽤 스트레스의 원인이였다. 사실 요새는 전화기와 PC를 연결하는 것을 많은 사람들이 어려워하거나 귀찮아한다 ) 그리고 PC와 싱크(Sync)라는 어려운(?) 작업을 거쳐야만 내가 원하는 자료를 PDA에 전송할 수 있었다.  그래서 내가 들고 다니는 자료가 결국  전화번호부, 할일 그리고  일정이다. 문제는 이러한 자료가 내가 그렇게 많은 양을  들고다닐 필요가 없는 자료라는 점이다. 즉 웬만하면 그냥 암기해도 되거나 또는 입력이 자주 있는 데이타인 "메모"는 PDA에 입력하기에 너무 불편했다.

   두번째 원인은 사용 방법이 어렵거나 사용 중에 Trouble이 많았다. PDA를 연결했는데 USB 장치 인식이 안 되고 PIMS Sync가 안 되서 짜증이 나는 경험을 느껴 본 분은 아실 것이다. 쓰다가 리셋은 왜 그리 자주 해야 하는가? 가끔은 해 줘야 잘 돌아간다. 오죽하면 Reset 버튼은 기본이고 Soft Reset 프로그램이 다 있을까? 여러분 TV에 Reset 버튼 보았는가?

  하지만 카네이게이션은 어떠한가? 이 제품은 단순하다. 그냥 카네비게이션을 사고 차량에 장착하고 전원 버튼을 켜기만 하면 된다. PC Sync를 알 필요도 없고 USB 장비로 인식시킬려고 노력할 필요도 없다. 단지 업데이트를 위해 메모리 카드를 사용하는 방법 정도만 알면 된다. 이건 그래도 좀 해볼만하다. 그러니 우리 아버지도 카네이게이션을 탐내시는 거다.

  PMP? 이건 더 쉽다. 그냥 PC에 USB로 연결하면 친철하게 외장 HDD로 인식해준다. 얼마나 편한가?

  한편 스마트폰은 어떠한가? LG에서 새로 나오는 KC1 스마트폰을 구매했을 때 내가 꼭 PC에 연결해야만 그 스마트폰을 사용할 수 있는 것인가? 아니다. 전화 개통이 됐으면 그냥 사용하면 된다. 다만 내가 좀더 신경을 쓰자면 PC에 연결하는 것이지 PDA처럼 우선 "PC에 연결해야만 해"라는 원칙은 없다.


PDA보다도 카네비나 PMP가 그리고 MP3가 더 시장성이 있는 이유는 바로 고객에게 주는 "용도"가 확실하고 사용이 "간편하기" 때문이다.

오늘의 돼지꼬리
--> 애매한 다용도보다 확실한 용도의 제품이 성공한다.
--> 사용이 어려운 제품은 결국에는 없어진다.

오늘의 질문
--> IPTV는? 메가TV는? 하나TV는? 허걱! 야호?


북한산 자락에서 퓨처워커가
http://www.futurewalker.co.kr
2007년 7월 28일